제주 4.3 양민학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30 20:10
본문
Download : 제주 43 양민학살.hwp
6월 18일 토벌 방식에 불만을 품은 문상길 등이 박진경을 살해하자, 미군정은 최경록을 후임에 임명하여 도민들에 대한 수색작업을 계속하였다. 7월 15일에는 송요찬을 새로운 연대장으로 임명하여 그로 하여금 약 한달 동안 새로이 부대정비를 하게 한 다음 유격대에 대한 공격을 재개하도록 하였다.
제주_4[1].3_양민학살
,기타,레포트
설명
다. 8월 초순, 김달삼 등 유격대 주요 지휘관 6명이 해주의 남조선인민 대표자회의 참석을 명분으로 제주를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하고,…(투비컨티뉴드 )
순서
레포트/기타






제주 4.3 양민학살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박진경과 국방경비대의 강력한 토벌에 대응하여 유격대는 5월말 그 편제를 `인민해방군`으로 바꾸었고, 도민들 또한 생존의 극한 상황에서 국방경비대의 동향을 탐지, 감시하기 스타트했다. 그는 5월 12일부터 공격을 개시하여 6월 중순이 되면 `포로` 의 숫자는 6천 명으로 불어난다.제주_4[1].3_양민학살 , 제주 4.3 양민학살기타레포트 ,
제주 4.3 양민학살
Download : 제주 43 양민학살.hwp( 47 )
제주 4.3 양민학살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용어문제
2. 4.3 발발 Cause
3. 4.3 전개과정
1) 1948년 4월 3일
2) 4.28 평화협상과 5.1 오라리 방화사건
3) 5.10선거 거부 투쟁
4) 박진경의 초토화작전
5) 학살 - `삼광(三光)`, `삼진 (三盡)‘ 작전
6) 하산민들
7) 지속되는 대학살과 항쟁의 종식
8) 百祖一孫之地
4. 4.3의 피해와 의의
Ⅲ. conclusion
4) 박진경의 초토화작전
이에 미국은 즉각 제주도의 해안선을 봉쇄하고 박진경에게 초토화작전을 명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