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론] 인과관계와 인과관계의 추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9:57
본문
Download : 인과관계와인과관계의추론.hwp
인과관계 추론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J. S. Mill)
둘째, 원인과 결과는 공동 變化(변화)하여야 한다(공동變化(변화)와 연관성).
* 업적이 동기變化(변화)를 유발하는가, 아니면 동기變化(변화)가 업적을 變化(변화)시키는가?
Ⅰ. 인과관계의 의의
원인이 되는 현상이 變化(변화)하면 결과적인 현상도 항상 같이 變化(변화)해야 한다는 ‘상시연결성의 원칙’ 또는 ‘공동變化(변화)의 원칙’이다.
1. 시간적 선후관계
3. 비허위적 관계
Ⅱ. 인과적 추론의 조건
따라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가 상호 관련되어 있지 않다면 한 변수가 다른 변수의 원인이 될 수 없다.
다.
순서
[본문일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Ⅱ. 인과적 추론의 조건
* 흡연이 폐암을 유발, 심리적 좌절이 자살을 야기한다.
⑴ 연관관계의 강도
설명
* 지능이 낮은 사람과 높은 사람이 똑같이 범죄를 저지른다면 지능은 범죄의 원인이 될 수 없다.





* 연관성의 정도가 크다는 것만으로 인과적 설명(explanation)의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다(현장에 출동한 소방관이 많을수록 화재의 피해가 크다).
Download : 인과관계와인과관계의추론.hwp( 46 )
인과관계, 추론, 조사방법, 연구방법, 과학
[조사방법론] 인과관계와 인과관계의 추론
따라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결과나 종속변수를 산출하는 원인이 되는 요소인 독립변수가 먼저 발생하든지 變化(변화)하여야 한다.
첫째, 원인은 결과보다 시간적으로 앞서야 한다(시간적 선후관계).
`인과관계와 인과관계의 추론`에 대하여 일목요연하게 說明(설명) 하고 있는 글입니다.
연관관계의 강도는 연관성의 크기를 의미한다. 즉 두 변수간에 연관성이 크다는 것이 인과관계를 주장하는데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지만 그 정도가 커지면 인과관계의 가능성은 높아진다.
2. 공동變化(변화)와 연관성
[목차]
1. 시간적 선후관계
셋째, 결과는 원인변수에 의해서만 설명(explanation)되어야 하며 다른 변수에 의한 설명(explanation)가능성은 배제되어야 한다(비허위적 관계).
2. 공동變化(변화)와 연관성
`인과관계와 인과관계의 추론`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원인이 되는 사건이나 현상은 결과보다도 시간적으로 먼저 발생해야 한다는 것으로 ‘시간적 선행성의 원칙’이라고 부른다.
*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보다 폐암에 걸릴 확률이 2배 높다는 것보다는 20배가 높을 때, 인과관계의 가능성은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