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 neuron simulator를 이용한 신경세포의 이해, 시냅스 모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4:04
본문
Download : 생리학 - neuron simulat.docx
그러나 자극이 threshold를 넘지 못하면 positive-feedback이 일어나지 않아 action potential이 생기지 않는다. 이 feedback을 통해 모든 voltage-dependent Na channel이 열리게 돼서 결국 action potential을 만들게 된다된다. Excitable cell들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신경세포이다. K channel을 통해서 K+가 ECF로 나가서 membrane potential은 다시 음의 값을 갖게 된다된다. 이 K channel은 서서히 열리므로 Na+ channel이 닫히는 시점에서 모두 열린 상태가 된다된다. Excitable cell들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신경세포이다. Membrane potential이 변하게 되면 voltage-dependent Na channel이 열리게 되고 이를 통해 Na+가 더 빠르게 유입시켜 membrane potential를 더욱 變化시키는 positive-feedback이 일어난다. RMP상태에서는 Na channel이 열리지 않지만 자극이 주어지면 Na channel이 열리게 된다된다.
생리학 - neuron simulator를 이용한 신경세포의 이해, 시냅스 모사
설명
신경세포의 RMP는 약 -70mV이다. 평소 세포막은 Na+에 대해 impermeable했기 때문에 Na channel이 열려서 세포막이 Na+에 대해 permeable하게 되면 Na+는 빠르게 세포막으로 들어와서 Na+의 Nernst 전압인 +67mV쪽으로 전압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Na channel은 금방 닫히므로 depolarization potential은 +30mV을 넘지 않는다. membrance potential이 0mV일 때 Na channel의 98%가 닫히고 +30mV일 때 모두 닫힌다고 한다. 신경세포에서 action potential이 일어나는 과정은
레포트 > 의학계열
Voltage-dependent Na channel이 rapid depolarization을 만든다.
생리학,neuron simulator,신경세포의 이해, 시냅스 모사
Repolarization이 일어난 후에 membrane potential은 일시적으로 원래의 RMP보다 더 낮은 값을 갖게 된다된다.
전기생리학적인 관점에서 nerve, heart, muscle과 같은 excitable cell들은 많은 ion channel들을 통해서 세포막전위를 alteration(변화) 시켜 세포의 reaction(반응)을 일으킨다. 이것은 K channel (voltage gated K channel, Ca dependent K channel)때문일것이다 K channel은 Na channel과 달리 늦게 열리고 늦게 닫혀서 RMP보다 더 낮은 membrane potential을 만들고 Ca dependent K channel의 활성은 탈분극기를 더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생리학적인 관점에서 nerve, heart, muscle과 같은 excitable cell들은 많은 ion channel들을 통해서 세포막전위를 변화시켜 세포의 반응을 일으킨다. 신경세포에서 action potential이 일어나는 과정은
Na channel이 열린 후 수 백 마이크로 초 안에 Na+ channel은 닫히고, voltage gated K channel이 열리게 된다된다.
순서
Download : 생리학 - neuron simulat.docx( 39 )





다.